사실 기반의 논리적 사고를 못 하는 거 같음.
되게 감정적임
팩트를 말하면 화부터 냄. (특히 중국과 한국)
근데 일본은 강자에게 굴복하는 성격이 있고
개혁가가 강자가 되니 그를 모방해서 일본이 발전했음
또 미국에 사대하니 나라가 발전했음 (개혁 전에 중국한테 사대할때는 발전을 못 했지)
또 강자들이 보통 성공한 사람들이다보니, 그들의 사상을 모방하려 했고 객관적인 시각을 가진 경우가 많음.
(사실 강자를 따라하는 전략은 어떤 생존 집단에서든 2위하기 좋은 전략임. 전략적으론 되게 좋긴 함.)
(근데 요즘 현대 일본의 병폐도 같은 이치에서 나오긴 하지만 맥락에 맞지 않으니 쓰지 않음)
한국은 더 감정적인 면이 심함.
열심히 살긴 함.
근데 너무 감정적임.
시비의 문제를 선호의 문제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음.
특히 언더도그마 현상이 심함.
역사학자 토인비는 성공하는 문명의 조건으로 성공한 소수와 그에대한 모방을 꼽았음.
그런데 우리나라는 성공한 소수는 존재하지만 그에 대한 모방이 미비함.
언더도그마 현상이 심해서 성공한 소수를 미워함.
부자를 미워하는 경향이 강함.
정치도 마찬가지임.
정책에 대한 시비를 가리려고 하지 않음.
편들어 싸우길 좋아함.
어떤 정치인의 정책의 현실 가능성, 효과, 부작용 등을 두루 생각해서 평가해야되는데
우리 당이면 지지하고 타 당이면 깎아 내림.
당연히 잘못한 정책이고 잘못 운영을 하고 있는 정치 집단에 대해서도
우리당이면 무조건 보호함. 감정에 따라 실패한 소수를 따르는 경향이 있음 (나라가 파국으로 가는 지름길...)
솔직히 이러하기 때문에 내가 나중에 돈을 번다고 해도 한국 기업에 큰 돈을 투자하진 못하겠음.
이런 마인드를 가진 사람들이 어떻게 성장하길 바람?
성공할 수 있는 사회가 마련이 되야하고
성공한 소수를 존경하고 그에 대한 모방을 하는 사회가, 개인이 되어야 발전한다고 봄.
개인이 할 수 있는 건 객관적인 사실 파악 능력을 기르는 게 최선이라고 봄.
참고로 내가 그래서 부자를 좋아하고 존경함.
자본주의 사회에서 부자라는 건 사회 시스템을 가장 현실적으로 객관적으로 파악했을 확률이 높고
성공에 대한 모방(자기통제와 노력)을 잘한 결과라고 생각함.
(반론: 로또당첨된 사람은? 코인 대박난 사람은?
로또 당첨 직후의 사람에 대한 평가는 할 수 없음.
그렇지만 그 당첨된 돈을 유지하고 불려나가면 그 사람은 부자인 것이고
그 돈을 흥청망청 써버려서 날려버리면 그건 그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