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에 속한 a의 문제점을 막 묘사하고 있음
누가 봐도 객관적으로 a는 문제가 심각함.
그리고 다큐가 끝날때쯤 A 규제 필요성을 역설함.
분명히 다큐에서는 a가 문제라고 다뤘는데 마지막엔 자연스럽게 A 규제 필요성을 외침
그리고 이 규제법을 찬성하는 사람들도 보면 a가 문제다. 그러니까 A를 규제해야한다고 말함.
a는 문제가 맞음. 근데 A는 문제가 아님.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은 거 같음
논리가 이상하다는 생각도 못하고 그냥 선동당해서 저런 주장을 외치는 거 보면...
이해가 안 갈까봐 잘못된 주장의 예시를 들자면
문제아 남학생은 말썽을 일으킨다.->사실
그러니까 남학생이 말썽을 못 일으키게 규제하자.->잘못된 주장.
(남학생이 말썽을 못 일으키게 규제한다는 내용은 전체 남학생에 해당하는 내용.
올바른 주장은 문제아 남학생이 말썽을 못 일으키게 하는 것)
그 사이트의 일부 회원은 혐오 주장을 하고 있다.->사실
그러니까 그 사이트를 규제하자.->잘못된 주장.
(그 사이트의 일부 회원을 규제해야하는 것이지 그 사이트가 잘못된 건 아님)
A 세력의 일부 비리 집단(a)은 도덕적으로 올바르지 못한 행동을 하고 있다.->사실
그러니까 A 세력을 규제하자.->잘못된 주장.
(A세력의 문제가 아니라 A 세력에 속한 a의 문제임 a를 규제해야지 A를 규제하는 건 잘못된 주장.)
※위의 내용을 이해했으면 아래를 읽고 그렇지 않으면 머리 아프니까 읽지 말길...
근데 이걸 잘 이해했으면 반론도 제기할 수 있음.
a의 문제 해결이 A집단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서 발생한 필연적인 문제라면
A집단을 규제하는 것이 맞지 않는가?
이것에 대한 반론으로는
A집단 규제와 a를 전부 없앨 수 없을지라도 a부분 규제의 총 효익과 부작용을 같이 살펴봐야함.
A집단 규제의 부작용이 너무 심하다면 A집단 규제보다 완벽한 해결책은 아닐지라도 a 부분 규제로 끝내야됨
그렇지만 a가 너무 심각한 문제라면 A집단을 규제할 순 있음
실제 예시를 들자면 한쪽 정치집단만 비판할 수가 있어서 실례는 알아서 찾아보기 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