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9.03 20:15

조회 수 11 댓글 5

은 생각해보면 이야기를 가장 압축적으로 전달한다.

근데 그 향락의 측면에서 본다면 책은 기능을 점차 상실하는 것 같다.

이유는 글로만 몰입해야하는 책에 비해, 시각, 청각으로 몰입을 도와주는 편리한 것들이 있기에...

그렇다면 데미안처럼 고전 명작을 읽으면 되지 않나? 라고 주장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여기엔 이런 반론을 들고 싶다.

영화를 가볍게 보는 사람이 있지만 고전 명화를 찾아서 그 영화적 의미를 찾아보는 사람도 있다.

단순한 즐거움을 추구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발견에서 즐거움을 찾는 사람이 있다.

이미 책은 단순한 즐거움을 추구하기엔 먼 영역으로 가버렸다고 생각한다.

물론, 독서의 감성을 생각한다면 완전히 대체되었다고 할 수는 없지만

현대 한국의 독서량을 생각한다면 거의 대체되었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그렇다고 책의 종말이 온다거나... 그런 류의 주장은 아니다.

얘기했듯 책은 가장 압축적으로 무엇인가를 전달한다.

자서전은 읽으면 인생을 간접체험할 수 있고

전공 서적을 읽으면 깊이있는 지식을 얻을 수 있다.

 

맥도날드를 기다리면 끄적여본 책에 대한 단상


글리젠 어제 20 오늘 26 새 글 평균 27.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5354 9시부터 공부해야지 2 angelarum 2021.09.04 19 0
105353 삭제된 게시글입니다. 익명_cd3fd4 2021.09.04 5 0
105352 요즘 디시에 탈북민 욕하는 선동글이 자주 올라오네 8 angelarum 2021.09.04 37 0
105351 오늘 아침 춥네 1 file 탕쿠쿠는우주를구할영웅이다 2021.09.04 18 0
105350 롯데리아가 고가 버거는 노맛이지만 6 크리미 2021.09.04 18 0
105349 백화점 다니는 부자눈나랑 데이트하는 꿈 꿈 1 탕쿠쿠는우주를구할영웅이다 2021.09.04 18 0
105348 얼버기! 3 angelarum 2021.09.04 22 0
105347 후에잉 3 file 유메미 2021.09.04 24 0
105346 에도 배경으로 하는 창작물에서 3 네흥 2021.09.04 26 0
105345 https://youtu.be/9nQurjU-Ky0 1 네흥 2021.09.04 20 0
105344 이거 보고 안웃으면 자러감 3 네홍 2021.09.04 17 0
105343 페코라 따라하면서 노는중 10 file NC병신같은새끼들 2021.09.04 31 0
105342 폴메카트니 나치설 2 file 네홍 2021.09.04 22 0
105341 산고 4 file 유메미 2021.09.04 36 0
105340 이거기엽다 1 file 유메미 2021.09.04 23 0
105339 제꺼에요... 2 file 유메미 2021.09.04 20 0
105338 먼갈 까먹었다 싶었는데 4 file 네홍 2021.09.04 24 0
105337 달달루 한판 ? 5 file 네홍 2021.09.04 25 0
105336 대꼴짤 달린다 ㅋㅋㅋ 3 file 네홍 2021.09.04 71 0
105335 네붕이 의자에 앉아서 잠듦 2 file 네홍 2021.09.04 30 0
목록
검색
Board Pagination Prev 5940 5941 5942 5943 5944 5945 5946 5947 5948 5949 Next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