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충 연 7%(대충 배당 3%, 성장 3% 어차피 재투자 할거라 비중은 상황봐서 정하기)짜리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를 정함.
(이거 만드는 법은 되게 교과서적인 거라 찾으면 있을거임)
2. DCA(달러 코스트 애버리징)를 함.
사람들이 이걸 분할매수랑 착각하는데 분할매수와 다름. 분할매수는 저점을 잡을 수 없으니까 일정 기간을 두고 분할해서(비율은 전략따라 다르고) 사는 거임.
DCA는 포트폴리오 같은 금액으로 비율 유지하면서 하는 거임. 장점은 리스크 관리가 알아서 됨.
(DCA에 대한 자세한 설명
내가 주식을 매달 200만원씩 넣을 거야. 그리고 그 포트폴리오 비중을 A, B, C, D 주식으로 각각 25%로 나눠서 넣는다고 하자.
첫 달에 각 주를 50만원씩 샀어. 근데 다음달에 보니까 주가 변동으로 A 주식 60만원, B 주식 30만원, C 주식 40만원, D 주식 50만원이 되어 있었어. 총액 180만원
그러면 비중이 A 주식 33.33% B 주식 16.67%, C 주식 22.22% D 주식 27.78%가 됐음.
총액이 180만원이니까 이번달 200만원을 더하면 380만원이 됨. 여기서 25% 비중은 각 95만원임.
그러면 A 주식 35만원, B 주식 65만원, C 주식 55만원, D 주식 45을 사서 각 95만원으로 맞추고 비중을 똑같이 유지함.
DCA의 기본에서 조금 더 응용한 거임. 기본은 한 주식만으로 하는데 그걸 포트폴리오에 적용하면 이런 방식임.)
3. 연평균 수익률 7%를 유지하고 배당도 재투자한다고 가정할 시 매달 x만큼 넣으면 연말에는 12.39x만큼 됨
4. 이런 식으로 10년 넣으면 171.19x만큼 됨
다시 말해 한달 200만원씩 10년 이 방법으로 투자하면 약 3억 4200만원이 됨 (단순 더하기 2억 4천만원)
5. 이런 식으로 대충 25년 넣으면 783.66x만큼 됨
다시 말해 한달 200만원씩 25년 이 방법으로 투자하면 약 15억 6700만원이 됨 (단순 더하기 6억원)
6. 반복해서 40년이다? 2473.47x임
다시 말해 한달 200만원씩 40년 이 방법으로 투자하면 약 49억 4700만원이 됨 (단순 더하기 9억 6천만원)
근데 30대때 월급이랑 40대때 월급이랑 인플레이션이랑 다 다를 거니까 매달 넣는 금액을 연 2% 수준으로 증가시킨다면 (쉽게 말해 돈 넣는 양을 조금씩이라도 늘리면)
7. 다시 매달 200만원으로 시작해서 계산하면
10년 약 3억 8천 (단순 산술합 2.4억 대비 58.33% 이득)
25년 약 21억 2천 (단순 산술합 6억 대비 253.33% 이득)
40년 약 84억 5천 (단순 산술합 9.6억 대비 775% 이득)
결과를 보면 알 수 있듯 가치투자로 자산배분 잘 해두고 장기투자하면 늙어서 부자가 되는건 당연한 결과임.
하지만 사람들이 이 투자를 못하는 이유
1. 매달 같은 금액을 저축할 정도로 여유가 있지 않다.
2. 한 순간의 욕심을 버리지 못하고 위험선호 투자를 한다.
그 외에도 뭐 있겠지?
그리고 설명 쉽게 하기 위해서 주식으로만 설명했는데 채권(주로 미국채)이랑 부동산 등 다른 자산도 고려해야됨.